
🌼서버 반상회란?디프만 16기 서버 개발자들이 참여하는 반상회16기에서 처음으로 진행되는 행사!내가 여러 포스팅에서 얘기했던 대로 네트워킹을 하고 싶어서 만든 이번 기수에 처음으로 진행되는 행사였다.🌱기획퇴근 후 밋업처럼 가볍게 참석해서 네트워킹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주말에 진행하게 되면 디프만 세션 만으로도 체력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가볍게 참석할 수 있었으면 했다.그래서 퇴근 후에 진행하게 되었다.실제로 퇴근 후 가볍게 오신 분들도 적지 않았고 나도 퇴근 후 참석해서 하루를 알차게 보낸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서버 개발자들끼리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행사를 만들고 싶었다.특히 다른 팀의 서버 개발자들과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싶었다.디프만에는 좋은 사람들이 많은 데, ..

👀디프콘이란?'디프만' + '컨퍼런스'의 줄임말📝기획디프콘은 이전 기수에서는 없다가 새로 생긴 세션이다.메인 기획을 담당한 16기 회장 현우핑에게 감사 인사를...ㅎㅎ나도 그렇고 이번 기수 운영진에서 많이 나온 아쉬운 점 중 하나는 파트별 네트워킹이었다.어차피 팀 활동을 많이 하다보니까 팀 내부에서는 네트워킹도 하고 많이 친해지는데, 스터디나 뒷풀이에서 만나지 못 한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있었다.그리고 서버 파트들끼리 네트워킹을 하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싶었다.다른 운영진들도 이에 동의하는 분들이 많았고, 비슷한 의견을 갖고 있는 분들도 많았다.16기 회장인 현우형도 많이 공감했고, 그렇게 '디프콘'이라는 세션이 새로 탄생하게 되었다.디프만이라는 커뮤니티를 더욱 활..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책에 대해 디프만 16기에서 스터디에서 정리하며 남기는 글입니다. 스터디 GitHub : https://github.com/depromeet/16th-study-system-design-interview GitHub - depromeet/16th-study-system-design-interview: :book: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book: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스터디 저장소. Contribute to depromeet/16th-study-system-design-interview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1장. 사용자..

🙋♂️디프만 참여 동기❓지방 개발자 - 지방에서 활동하는 개발자.지방에서 개발을 하면 힘든 점이 너무 많았다.웹을 기준으로 전체적인 개발 수준이 수도권에 비해서 많이 낮았고, 부산 조차도 이렇다고 할 IT 기업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이로 인해서 대부분의 컨퍼런스가 수도권에서 열리고, 커뮤니티도 제대로 된 곳이 없다.이런 상황에서 나는 더 이상 지방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자신이 바뀌기 위해서는 우선 환경부터 바꾸라는 말이 있듯이 나도 나의 주변 환경을 바꾸고 싶어 동아리에 들어가고 싶었다. 동료의 부재 - 주변에 함께 의논하고 스터디하고 성장할 "동료"가 없었음.이것도 '지방 개발자'에서 연계되는 것 중 하나이다.적어도 내 주변 친구들은 이 얼어붙은 시장에서 네카라쿠..

참여 동기사실 스터디 참여 동기는 디프만 참여 동기와 같은 흐름이었다.지방에서 개발하며 함께 소통할 사람이 없다는 것. 스터디 같은 것들을 진행해도 나와 목표가 비슷한 사람은 적었고, 마음이 맞는 사람도 적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참여율이 저조해졌고, 스터디를 준비하는 시간에 비해서 스터디에 대한 만족감은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그 이유가 나에게 있지 않을까 싶기도 했다. 보통 내가 팀장으로 진행을 했는데, 운영이나 스터디 준비에 많은 시간을 사용했지만, 그에 비해서 스터디의 운영 방식이나 시스템이 효율적인가에 대해서는 조금 부정적인 생각을 했다. 제대로 된 스터디를 참여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평가하기도 힘들었고, 더 나은 방향을 찾기도 쉽지 않았다.이러한 생각 때문에 '좋은' 스터디의 시스템을 경..

❓What is Infcon❓성장에 연결을 더하다!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들이 모이는 축제INFCON 2024 🎶지난 2년간 많은 분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대표적인 IT인의 축제로 자리매김한 인프콘!2024년 8월, 인프콘이 한층 더 풍부한 세션과 프로그램으로 돌아옵니다. 올해는 개발자, PM/PO, 디자이너 직군을 아우르며 더 넓고 깊이 있는 시간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인프콘 홈페이지 발췌 인프콘은 올해로 세 번째라고 하네요!IT 개발 직군에 치우쳐있던 이전 행사들과 달리 올해부터는 PM/PO 그리고 디자이너 분들을 위한 세션이 아주 많아졌어요.실제로 행사장 내에 디자이너분들이 진짜 많았어요.그만큼 티켓팅 더 빡세진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고...ㅎㅎ ✅참여 기업보다시피 아주 많은 기업들이 이번 ..

아키텍처갑자기 아키텍처?테스트는 품질을 위한 도구이면서, 설계를 위한 도구임.Testability를 높여야 설계를 위한 도구로 사용 가능.테스트와 설계는 상호보완적.테스트가 어렵다면 아키텍처가 정답을 알려줌. 개발하기 어렵다면, 테스트하기 쉽도록 개발하면 편하다. 아키텍트의 정의아키텍처란 어떤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준수해야하는 제약을 넣는 과정!아키텍처를 지키려고 하다보면 오히려 더 불편해짐.이로 인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차라리 없는 것이 나을 수 있음.그럼에도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이유?아키텍처를 사용하기 전 문제 상황을 정확하기 인지하는 것이 중요함.꼭 써야하는 이유를 파악하고, 구성원들이 모두 동의해야함.아키텍처는 종착지가 아닌 여정에 가깝고, 고정된 산출물이 아니라 계속된 탐구 과정에..
각Service를 추상화 ServiceImpl로 구현체 이름을 변경Controller 패키지에Service 인터페이스 생성public interface UserService { User getByEmail(String email); User getById(long id); User create(UserCreate userCreate); User update(long id, UserUpdate userUpdate); void login(long id); void verifyEmail(long id, String certificationCode);}public interface CertificationService { void send(String email, long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고리즘
- 글또
- server
- 1주차
- AWS
- 후기
- 리빙랩
- tdd
- 6팀
- 10기
- python
- 글로컬
- 육.지.행
- 16기
- test
- 파이썬
- 서버
- it 동아리
- 회고
- 해커톤
- 중간발표
- 디프만
- 연합 동아리
- spring boot
- 15기
- 육지행
- 스터디
- 프로그래머스
- 백엔드
- 인프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