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또...?글쓰는 또라이가 세상을 바꾼다. 라는 모토로 시작된 동아리이다. 🏃활동 기간2024년 10월 ~ 2025년 3월6개월 동안 2주 단위로 글을 제출 📝제출 글1회차[글또 10기] 합격, OT 그리고 나의 다짐2회차[우테코 - 프리코스] 1주차 과제 후기 및 회고3회차[백엔드 로그, 모니터링 환경 구축] Grafana, Prometheus, Loki4회차패스5회차글또 10기 백엔드 인프라 반상회 후기6회차패스7회차2024 회고, 나의 올 해는 어떤 해였을까?8회차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1장 ~ 3장9회차디프만 16기의 첫 도전, 디프만 컨퍼런스 디프콘 후기10회차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4장 ~ 6장11회차디프만 16기 서버 반상회 기획&..

🌼서버 반상회란?디프만 16기 서버 개발자들이 참여하는 반상회16기에서 처음으로 진행되는 행사!내가 여러 포스팅에서 얘기했던 대로 네트워킹을 하고 싶어서 만든 이번 기수에 처음으로 진행되는 행사였다.🌱기획퇴근 후 밋업처럼 가볍게 참석해서 네트워킹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주말에 진행하게 되면 디프만 세션 만으로도 체력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가볍게 참석할 수 있었으면 했다.그래서 퇴근 후에 진행하게 되었다.실제로 퇴근 후 가볍게 오신 분들도 적지 않았고 나도 퇴근 후 참석해서 하루를 알차게 보낸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서버 개발자들끼리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행사를 만들고 싶었다.특히 다른 팀의 서버 개발자들과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싶었다.디프만에는 좋은 사람들이 많은 데, ..

👀디프콘이란?'디프만' + '컨퍼런스'의 줄임말📝기획디프콘은 이전 기수에서는 없다가 새로 생긴 세션이다.메인 기획을 담당한 16기 회장 현우핑에게 감사 인사를...ㅎㅎ나도 그렇고 이번 기수 운영진에서 많이 나온 아쉬운 점 중 하나는 파트별 네트워킹이었다.어차피 팀 활동을 많이 하다보니까 팀 내부에서는 네트워킹도 하고 많이 친해지는데, 스터디나 뒷풀이에서 만나지 못 한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있었다.그리고 서버 파트들끼리 네트워킹을 하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싶었다.다른 운영진들도 이에 동의하는 분들이 많았고, 비슷한 의견을 갖고 있는 분들도 많았다.16기 회장인 현우형도 많이 공감했고, 그렇게 '디프콘'이라는 세션이 새로 탄생하게 되었다.디프만이라는 커뮤니티를 더욱 활..

백엔드 반상회란?글또에서 진행되는 글또 멤버들 중 백엔드와 인프라가 참여하는 반상회다.크게 연사자분들의 발표와 네트워킹 시간으로 나눠서 진행됐다. 글또 신청하면서 자료를 찾을 때 반상회가 재밌고 유익했다는 내용을 여럿 봐서 이번에 글또 활동하면서 꼭 참여하고 싶었던 활동 중 하나였다. 여러 사정으로 일정이 너무 빡빡해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 기회가 될 때 참여하는 게 좋을 거라고 생각해서 시간을 쪼개서 참여했다.반상회일정12월 5일 목요일 19시에 진행됐다.19시부터 22시까지 진행됐다.원래 21시 50분에 정리하고 마무리였는데, 네트워킹 시간을 더 가져서 약간 늦게 마쳤던 것으로 기억한다.장소우테코가 진행되는 선릉 성담빌딩의 테크 살롱에서 진행됐다.우테코 일정이 있으면 사용하지 못 할 수 있었다는 ..
디프만이 끝나고, 다른 사이드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하고는 있지만...역시 처음 디프만 지원할 때처럼 마찬가지로 주변에 같이 공부할 애가 없는 슬픈 상황이 반복됐다 ㅠㅠ같이 공부할 사람도 별로 없고, 뭔가 목표가 없어서 나태해지는 거 같아서 동기 부여를 위해서 참여하게 됐다.많은 후기에서 프리코스 만으로도 많은 성장이 된다고 해서 우테코를 선택하게 됐다 ㅎㅎ 📚 과제🎯 학습 목표Git, GitHub, IDE 등 실제 개발을 위한 환경에 익숙해진다.교육 분야에 맞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간단한 문제를 해결한다.첫 과제라 그런지, 다른 참여자분들도 Git과 제출 관련 질문이 엄청 많았던 거 같다. ℹ️ 진행 방식과제 진행 요구 사항, 기능 요구 사항, 프로그래밍 요구 사항 세 가지를 참고해 문제를 해결..

1. ❓글또란❓그렇다....ㅋㅋㅋ'글 쓰는 또라이가 세상을 바꾼다' 를 줄여서 글또다. 활동기수 시작 후 총 6개월 동안 2주 단위로 글을 제출한다.기간2024년 10월 ~ 2025년 3월(총 6개월) 2. ℹ️모집 정보서류24년 9월 12일 ~ 24년 9월 22일(일)합격자 공지24년 9월 26일(목) 저녁OT24년 9월 29일(일) 21시 ~ 22시 (필수 참여) 3. 📝자기소개서1) 요즘 관심사개발 : 테스트 코드에 관심이 많아서 테스트 코드 관련한 내용들과 관련해서 작성했다.취업 : 아무래도 취준생이라서 가장 큰 관심사는 취업이기 때문에 이런 내용들을 작성했다. '원하는 기업이 아니라도 취업해야할까?'에 대한 고민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계속 고민을 하고 있다.좋은 글 작성하는 방법 : 이런 활..

🙋♂️디프만 참여 동기❓지방 개발자 - 지방에서 활동하는 개발자.지방에서 개발을 하면 힘든 점이 너무 많았다.웹을 기준으로 전체적인 개발 수준이 수도권에 비해서 많이 낮았고, 부산 조차도 이렇다고 할 IT 기업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이로 인해서 대부분의 컨퍼런스가 수도권에서 열리고, 커뮤니티도 제대로 된 곳이 없다.이런 상황에서 나는 더 이상 지방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자신이 바뀌기 위해서는 우선 환경부터 바꾸라는 말이 있듯이 나도 나의 주변 환경을 바꾸고 싶어 동아리에 들어가고 싶었다. 동료의 부재 - 주변에 함께 의논하고 스터디하고 성장할 "동료"가 없었음.이것도 '지방 개발자'에서 연계되는 것 중 하나이다.적어도 내 주변 친구들은 이 얼어붙은 시장에서 네카라쿠..

참여 동기사실 스터디 참여 동기는 디프만 참여 동기와 같은 흐름이었다.지방에서 개발하며 함께 소통할 사람이 없다는 것. 스터디 같은 것들을 진행해도 나와 목표가 비슷한 사람은 적었고, 마음이 맞는 사람도 적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참여율이 저조해졌고, 스터디를 준비하는 시간에 비해서 스터디에 대한 만족감은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그 이유가 나에게 있지 않을까 싶기도 했다. 보통 내가 팀장으로 진행을 했는데, 운영이나 스터디 준비에 많은 시간을 사용했지만, 그에 비해서 스터디의 운영 방식이나 시스템이 효율적인가에 대해서는 조금 부정적인 생각을 했다. 제대로 된 스터디를 참여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평가하기도 힘들었고, 더 나은 방향을 찾기도 쉽지 않았다.이러한 생각 때문에 '좋은' 스터디의 시스템을 경..
- Total
- Today
- Yesterday
- 글로컬
- 중간발표
- python
- test
- 15기
- it 동아리
- 알고리즘
- 1주차
- tdd
- 6팀
- 리빙랩
- 프로그래머스
- 회고
- 해커톤
- server
- 연합 동아리
- 후기
- 스터디
- 16기
- 육지행
- 디프만
- 서버
- spring boot
- 육.지.행
- 백엔드
- AWS
- 파이썬
- 10기
- 인프런
- 글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